역사/한국사

한국사 - 고려 후기 사회 변동 내용 정리 및 기출문제

행복한세상요 2023. 6. 18. 16:13

 

1. 무신 정권의 성립

 1) 배경

   -문벌 사회의 모순에 대한 개혁 실패, 국왕의 실정

   -무신에 대한 차별, 하급 군인 제대로 토지를 지급받지 못하고 잡역에 자주 동원

 2) 과정

   -정중부 등 무신들이 정변을 일으켜 많은 문신 죽이고 왕 교체

   -초기 : 권력을 둘러싼 내분으로 최고 권력자 여러 차례 교체(정중부 -> 경대승 -> 이의민 -> 최충헌))

   -최씨 무신 정권(4대 60여년간)

 

2. 무신 중심의 권력 기구

 1) 정변 초기 중방을 중심으로 국정 운영

 2) 최씨 무신 정권의 권력 기관

   -교정도감 설치 : 국정 총괄 최고 권력 기구

  -도방 확대 : 신변을 경호하던 사병 집단

  -도방과 삼별초 : 최씨 정권을 유지하는 군사적 기반

  -정방 설치 : 인사권 장악(최우)

 

 

3. 농민과 천민의 봉기

 1) 신분제 동요

  -하층민 중 권력층이 된 사람들 등장(노비 출신으로 최고 권력에 오른 이의민)

  -무신들의 농민과 천민에 대한 수탈 확대 -> 농민과 천민의 대대적인 봉기(만적 신분 해방 추구)

 

4. 몽골 침략과 대몽 항전

 1) 배경

   -몽골이 거란군을 추격하는 과정에서 고려와 첫 만남, 이후 고려에 무리한 공물 요구

   -몽골 사신 저고여가 귀국 도중 살해당함.

 2) 과정

   -몽골의  1차 침략(1231) : 최씨 정권 일단 강화 체결 후, 강화도로 수도 천도, 몽골의 침략에 대비

   -몽골의 여러 차례 침략

   -부곡민, 노비 등 하층민의 항전 : 처인성 전투(김윤후의 살리타 사살, 충주성 전투에서 노비군이 승리)

   -몽골 침입으로 오랜 기간 백성들 고통, 최씨 정권의 수탈

  -정부 내 몽골과 강화 세력 성장 -> 최씨 정권 붕괴 -> 몽골과의 강화 추진

 3) 결과

   -몽골과 강화 체결, 개경으로 환도

   -삼별초 봉기 : 강화도에서 봉기->진도와 제주도로 근거지를 옮기며 항쟁 ->  3년만에 여몽 연합군에 의해 진압

 

\

5. 원 간섭기

 1) 자주성 훼손

   -독립국의 지위 유지, but 고려 왕 원황제의 부마(사위)

   -왕실 호칭 부마국의 지위에 맞춰 낮아짐. 관청의 명칭도 격하

  2) 고려에 대한 수탈

  -특산물 징수, 처녀를 공물로 요구(공녀)

  -영토 약탈 : 쌍성총관부(화주), 동녕부(서경), 탐라총관부(제주도) 설치

  -일본 원정에 고려 동원

  -정동행성 설치 : 일본 원정을 위해 설치, 이후 개경에 남아 고려 내정 간섭

 3) 경제, 문화 교류 

  -몽골풍 고려에서 유행

  -원의 지배층 사이에 고려양 전파

 

6. 권문세족의 성장

  1) 구성 : 몽골어 통역관이나 환관 등 원과 관계를 맺은 세력 성장, 문벌에서 이어져 온 가문, 무신 집권기 새롭게 등장한 가문

  2) 특징

   - 주로 음서를 통해 관직 진출

   -도평의사사 장악 국정 좌우

   -대농장 차지, 농민을 핍박해 노비로 삼음

 

6. 공민왕의 반원 개혁 정치

 1) 배경 : 원이 점차 쇠퇴(원명 교체기)

 2) 반원 자주 정책

  - 기철 등 친원 세력 숙청

  -정동행성 이문소 폐지

  -쌍성총관부 공격 -> 철령 이북 영토 되찾음

  -격하된 관제 원래대로 회복, 변발 등 몽골풍 금지

 3) 국내 정치 개혁

  -권문세족 억압하고, 왕권 강화

  -정방 폐지 : 국왕 인사권 장악

  -교육 과거 제도 정비 :신진 사대부 적극 등용

  -전민변정도감 설치 : 토지를 원주인에게, 억울하게 노비가 된 자 해방

 4) 결과 

  -홍건적과 왜구 침입으로 개혁 추진 어려움

  -신진 사대부의 성장 미진

  -권문세족의 반발로 신돈 제거, 공민왕 시해되어 개혁 실패

 

7. 신진 사대부와 신흥 무인 세력

 1) 신진 사대부

   -공민왕대 크게 성장

   -주로 과거를 통해 중앙 정계 진출

   -성리학을 바탕으로 고려 말 사회 모순 개혁

  2) 신흥 무인 세력의 성장 : 홍건적과 왜구 토벌 과정에서 두각을 두러냄(이성계)

  3) 정도전 등 일부 신진 사대부와 이성계의 연합 -> 조선건국(1932년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