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유교 정치 이념의 확립
1) 유교가 정치 이념으로 강조, 유학 교육 확대, 유교에 대한 이해 심화
2) 과정
-태조 : 건국 과정에서 신라 6두품 출신 유학자의 공, 유교의 민본사상 내세움
-광종 : 과거제 실시, 유교적 소양을 갖춘 인재의 관직 진출
-성종 : 최승로의 건의, 유교의 정치이념 확립, 국자감 및 향교 설립을 통해 유학 교육장려
-고려 초기 유교 사상 : 자주적이고 주체적인 특성
2. 유학의 보수화
1) 고려 중기 문벌 사회 형성 -> 유교도 지배체제 안정을 추구하는 보수적인 성격으로 변화
2) 대표적인 유학자 : 최충, 김부식
3) 최충 : 9재 학당 설립, 유학교육에 힘씀. 고려 유학을 한단계 수준을 끌어올림
4) 김부식 : 현실안정을 추구하는 보수적인 경향.
5) 무신 정변 이후 유학 침체
3. 성리학의 수용
1) 원 간섭기에 성리학이 수용
2) 특징 : 인간의 심성과 우주의 원리를 연관 지어 철학적으로 탐구하는 신유학
3) 과정
-충렬왕 때 안향이 본격적으로 소개, 심성 수양 강조하는 실천적인 면
-이제현 : 원의 학자와 폭넓게 교류하며 성리학에 대한 이해 심화
4) 신진사대부의 성장
-성리학 수용, 불교 폐단 비판, 개혁 정치 추구
-소학과 주자가례 보급, 유교적 생활 규범 확산
4. 역사서 편찬
1) 유학 발달과 함께 많은 역사책 편찬
2) 건국 초 왕조 실록 편찬되었으나 거란 침임으로 소실, 7대 실록 편찬하였으나 현재 전해지지 않음
3) 삼국사기
-김부식이 왕명을 받아 편찬
-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역사서, 유교적 합리주의 사관에 따라 편찬
-합리적이고 객관적인 내용만 기록하고자 함
4) 고려후기
-자주 의식을 바탕으로 전통 문화 이해하려는 경향 대두
-동명왕편 : 이규보 저술, 동명왕의 업적 칭송
-일연의 삼국유사, 이승휴의 제왕운기 : 단군을 민족 시조로 내세움
5) 고려말 : 정통성과 대의명분을 강조하는 성리학적 유교 사관이 대두(이제현의 사략)
'역사 > 한국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공론에 바탕을 둔 조선 정치 (0) | 2023.09.07 |
---|---|
유교 통치이념에 바탕을 둔 조선의 통치체제 (0) | 2023.09.04 |
한국사 -1.고려 사회는 어떤 사회 특징을 가졌을까 (0) | 2023.08.06 |
한국사 - 고려 후기 사회 변동 내용 정리 및 기출문제 (0) | 2023.06.18 |
한국사_-고려는 동아시아 국제질서 변화에 어떻게 대응하였을까 (0) | 2023.06.0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