역사/한국사 7

고려-유교의 발달

1. 유교 정치 이념의 확립 1) 유교가 정치 이념으로 강조, 유학 교육 확대, 유교에 대한 이해 심화 2) 과정 -태조 : 건국 과정에서 신라 6두품 출신 유학자의 공, 유교의 민본사상 내세움 -광종 : 과거제 실시, 유교적 소양을 갖춘 인재의 관직 진출 -성종 : 최승로의 건의, 유교의 정치이념 확립, 국자감 및 향교 설립을 통해 유학 교육장려 -고려 초기 유교 사상 : 자주적이고 주체적인 특성 2. 유학의 보수화 1) 고려 중기 문벌 사회 형성 -> 유교도 지배체제 안정을 추구하는 보수적인 성격으로 변화 2) 대표적인 유학자 : 최충, 김부식 3) 최충 : 9재 학당 설립, 유학교육에 힘씀. 고려 유학을 한단계 수준을 끌어올림 4) 김부식 : 현실안정을 추구하는 보수적인 경향. 5) 무신 정변 이후..

역사/한국사 2023.08.26

한국사 -1.고려 사회는 어떤 사회 특징을 가졌을까

1. 고려의 계습 1) 구분 -양인과 천인으로 구분 -양인 : 정호와 백정, 향소부곡민 등으로 구분 -천인 : 공노비와 사노비, 공노비는 입역노비와 외거노비로, 사노비는 솔거노비와 외거노비로 구분 2) 정호 -관료, 군인, 향리 등 국가로부터 일정한 직역을 부여받은 지배 계층 -문무양반과 중간 계층으로 구분 -문무 양반 : 고위 관직에 오를 수 있음. 일부는 문벌 형성' -중간계층 : 중앙과 지방 통치 기구의 말단 행정 실무를 주로 담당(서리, 남반, 향리 등) 직역에 대한 대가로 국가로부터 토지 받음. 신분 자손에게 세습 향리 : 호장과 부호장 등 여러 단계로 구분, 상층 향리는 과거 응시하여 중앙 관직 진출 2. 백정과 천인 1) 백정 -특정한 직역이 없는 일반 백성, 대다수 농민 -조세, 공물, 역..

역사/한국사 2023.08.06

한국사 - 고려 후기 사회 변동 내용 정리 및 기출문제

1. 무신 정권의 성립 1) 배경 -문벌 사회의 모순에 대한 개혁 실패, 국왕의 실정 -무신에 대한 차별, 하급 군인 제대로 토지를 지급받지 못하고 잡역에 자주 동원 2) 과정 -정중부 등 무신들이 정변을 일으켜 많은 문신 죽이고 왕 교체 -초기 : 권력을 둘러싼 내분으로 최고 권력자 여러 차례 교체(정중부 -> 경대승 -> 이의민 -> 최충헌)) -최씨 무신 정권(4대 60여년간) 2. 무신 중심의 권력 기구 1) 정변 초기 중방을 중심으로 국정 운영 2) 최씨 무신 정권의 권력 기관 -교정도감 설치 : 국정 총괄 최고 권력 기구 -도방 확대 : 신변을 경호하던 사병 집단 -도방과 삼별초 : 최씨 정권을 유지하는 군사적 기반 -정방 설치 : 인사권 장악(최우) 3. 농민과 천민의 봉기 1) 신분제 동요..

역사/한국사 2023.06.18

한국사_-고려는 동아시아 국제질서 변화에 어떻게 대응하였을까

1. 북진 정책과 친송정책 1) 북진정책 -고구려 계승 의식 -서경을 북진의 전진 기지로 삼아 영토확장 -거란 강력히 배척 2) 친송정책 -10세기 후반 송 건국 중국 재통일 -고려 송 교류 확대. 발달된 문물 수용 -송도 거란 견제 위해 고려와 긴밀한 관계 유지 2. 거란 침입과 그 영향 1) 배경 : 고려와 송이 적극적으로 교류하며 거란 배척, 거란은 양국 관계를 끊고 후방을 안정시키기 위해 고려 침략 2) 과정 -1차 침입 : 서희의 외교 담판(송과관계 끊는 대가로 강동 6주 획득) -2차 침입 : 개경 함락 등의 어려움을 겪기도 하지만, 외교과 군사 전술로 모두 격퇴 -3차 침입 : 강감찬의 귀주 대첩 3) 영향 -고려 천리장성 축조, 국방 강화 -고려의 거란 격퇴 이후 고려 송 요 삼국 사이에 ..

역사/한국사 2023.06.06

고등교과-한국사-1.고려의 통치체제는 어떠하였을까

1. 고려의 건국 및 통일 과정10세기 초 동아시아 정세 변화 : 당 멸망 -> 5대 10국의 분열기, 거란 성장-> 발해 멸망, 중국 압박, 신라 -> 후삼국으로 분열 고려 왕건의 정책 : 호족을 적극 포섭하여 세력 확대, 중국 5대와 교류하며 후백제와 경쟁, 신라에 우호적후삼국 통일 과정 : 전쟁 없이 신라 흡수 -> 왕위 계승 분쟁이 일어난 후백제 격파 -> 후삼국 통일거란에 멸망한 발해에서 왕자 대광현이 이끄는 유민들을 포용고려의 천하관 : 삼국시대의 독자적 천하관 계승, ‘해동 천하’로 인식, 황제 / 천자 등의 칭호 사용 2. 국가 기틀의 확립 1) 태조 - 분열된 사회를 통합하고, 국가 기틀을 다지고자 함. -유력한 호족 세력과 혼인 관계를 맺거나, 왕씨 성을 하사함 -백성의 조세와 요역의 ..

역사/한국사 2023.05.29